저는 빠른 속도가 좋아서 몇 년 전부터 크롬을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단순히 빠르다는 것 외에도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tool을 깔면 여러 확장 기능을 쓸 수 있다는 것 역시 큰 매력이라 할 수 있죠. 다만 pig를 사용하려면 설치를 위한 경로를 알아두어야 하는데 혹시 box를 확장으로 깔고 싶었지만 경로에 대한 정보를 몰라서 시도하지 못했다면 이번에 tool에 대한 내용을 엮었으니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확장 프로그램에서 검색을 해보면 box가 나오지 않는데 왜 tool 검색이 안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주소를 바로 입력하면 box를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연결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주소는 'goo.gl/JlM61'이며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해서 크롬의 주소창에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pig tool box 설치를 할 수가 있습니다.
tool을 깔아주는 방법은 엄청 간단한데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해서 세부 페이지로 이동하면 겹쳐진 화면의 우측 상단에 크롬에 추가하기와 관련된 버튼이 있을 것입니다. 그 부분을 클릭하면 바로 box가 추가되어 있을 것입니다.
혹시 드래그 방지를 해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tool이 필요한 분들이라면 굳이 box를 깔지 않아도 되는데 tool 없이 드래그를 하는 방법을 조금 설명하자면 브라우저에서 'F12', 'F1'을 순서대로 한 번씩 누르고 'Disable Java Script' 항목을 체크하면 웬만한 페이지에서는 드래그를 할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pig에 대해 얘기했는데 해당 tool을 찾고 있었던 분들께서 설치를 하는 것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box에 대한 내용은 아닐 것이라 예상하지만 항상 좋은 정보를 전달하려 노력할 테니 필요하다면 또 들러주시기 바라며 저는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